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금융

월급관리 재테크 목적과 비상금까지 만들려면

by 후냐씨 2020. 3. 7.


보통 직장인과 알바 평균 월급으로 200만 원~250만 원 정도라고 하는데 누구는 내 집 마련과 다양한 재테크까지 하는 반면 또 어떤 사람들은 생활비가 모자란 경우도 생기곤 하므로 어떤 식으로 직장인 월급관리를 해야 할지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일반 직장인도 마찬가지겠지만 아직 사회초년생인 경우 이렇게 돈 관리나 재테크를 위한 수익 지출에 대해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요즘엔 30대~40대인 경우도 재테크를 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젊을수록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여요.

 

월급관리 재테크하기 위해선 목적과 목표부터 만들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장 생활하기 바쁘다 보니 미래를 위해 목돈 만들기나 재테크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사는 경우가 많은데 월급을 모아서 어떤 방식으로 재테크를 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보는 것이 좋아요.

 

  • 일단 목표가 생기면 월급으로 목돈 모으기 위한 계획을 세우게 되고 예적금부터 지출 줄이기까지 다양하게 시도해보게 되거든요.

 

본인의 월급 대비 생활비 지출 내역을 살펴보자

 

최근에 핸드폰 앱이나 어플을 통해 가계부 쓰는 젊은 층도 많이 늘어났는데 그만큼 자산관리를 위해서는 본인의 월급 대비 생활비 지출 점검이 중요해요.

 

  • 기본적으로 한 달간의 직장인 월급 수익과 지출이 어느 부분에서 많이 사용되는지를 알게 되면 좀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가계부 쓰는 법은 크게 어렵지 않으니 예전 방법대로 노트에 그냥 적으셔도 되고 요즘 하는 것처럼 휴대폰 앱 또는 컴퓨터나 노트북에 엑셀로 가계부를 작성해서 기록하셔도 됩니다.

 

가계부 점검으로 월급에서 사용되는 필요 없는 지출 줄이기 

 

보통 자산 관리하기 위해 가계부 작성하다 보면 평소 잘 모르던 본인의 소비패턴을 알게 되는데 저의 경우 간식이라던가 식비 쪽에서 많은 지출이 생기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 식비 그중에서도 간식 같은 경우는 꼭 필요한 게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줄일 수 있으므로 이것만 해도 한 달에 십만 원 정도는 절약되더군요.

 

 

  • 사실 월급날 대부분 당장 먹고 싶고 입는 것 등 생활과 사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쓰게 될 때가 많은데 어떻게 보면 가장 지출되기가 쉬우면서도 또 다른 쪽으로 생각해보면 아끼려면 충분히 안 쓸 수도 있는 비용이죠.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소비패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직장인 알바 평균 월급인 소액으로도 빠르게 재테크 자금 목돈 모으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일단 쇼핑을 한다고 하면 목표가 없을 땐 아무 거리낌 없이 사겠지만 일단 얼마까지 자금을 모아야 한다는 계획이 있다면 잠깐이라도 뭔가에 돈을 쓸 때마다 이런 목표와 계획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겠죠.

 

물론 단번에 평소 생활하던 소비와 지출이 달라지거나 하진 않겠지만 예전에 비해선 확실히 생활하는데 적은 비용을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목돈 만들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렇게 생활하다 보면 매달 받게 되는 직장인 알바 평균 월급관리로도 어느 정도 남는 금액이 생기게 되고 조금씩 재테크에 이용될 목돈 만들기에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