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부동산 매수심리가 사라져서 아파트 빌라 매매 거래가 잘 안 되는 부동산 하락기일 때 깡통전세로 빚까지 떠않으면 정말 난감하므로 미리 깡통전세 구분법과 이런 종류의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한 깡통전세 대처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깡통전세 뜻
깡통전세란 쉽게 말해서 세입자가 계약한 전세 보증금보다 아파트 빌라 매매 가격이 낮아지는 경우를 말할 때가 많고 이는 요즘 같은 빌라 아파트 집값 하락 시기로 인해 생기거나 의도적으로 처음부터 시세를 속여 원래 집값보다 높은 전세 보증금을 책정해서 계약하는 경우 이런 일이 생기게 됩니다.
- 이렇게 돌려받을 전세 보증금이 집값보다 많아지게 되더라도 집주인 임대인이 자산이 풍족해서 보증금을 돌려주면 아무 문제도 없겠지만 대부분 자산이 부족해서 전세 보증금 반환을 못해주거나 애초에 집주인이 아파트 빌라를 본인 돈이 아닌 은행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마련해서 전세를 내준 경우 자금이 부족해서 세입자에게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되므로 깡통전세가 돼버리고 맙니다. 최악은 임대인이 은행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같은 채무 이자를 납부하지 않아서 해당 아파트 빌라가 경매로 넘어가는 상황도 자주 생기곤 합니다.
- 안타까운 것은 이미 이런 깡통전세 수법들이 계속되고 있어서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것인데 그중에 대부분 신혼 가구로 첫 집을 마련했을 때 이런 식으로 깡통전세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 아무래도 사회초년생 또는 부동산에 관심이 없거나 이에 대한 지식이 많이 없을 경우 너무나도 쉽게 깡통전세에 당하게 되는데 그렇다면 아파트 빌라 깡통전세 대처하는 방법과 이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깡통전세 구분법까지 확인해 보죠.
아파트 빌라 깡통전세 구분법 대처 하기
- 우선 아파트 빌라 깡통전세 구분법으로 전세 계약 전 반드시 해당 아파트 빌라의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등기부등본에는 해당 아파트 빌라의 채무 대출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으므로 만약 이미 집값에 비해 많은 빚 채무가 있는 곳이라면 피하는 것이 좋겠죠. 부동산 등기부등본의 경우 대부분 정상적인 공인중개사라면 계약 전 확인해주곤 합니다.
- 아파트 빌라 깡통전세 구분법 다음은 주변 부동산 시세 확인하기입니다. 보통 흔한 인터넷 부동산 중개사이트에서 보이는 매매 전세 금액은 집주인 임대인이 원하는 금액으로 내놓는 호가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것보다 최근 주변 비슷한 규모의 빌라 아파트 매매 확정된 거래 금액을 확인해보면 전세 계약할 해당 부동산 주택의 시세를 대략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보통 깡통전세의 경우 다세대 빌라가 많으므로 5층 규모의 8세대 빌라라면 주변에 이와 비슷한 규모의 빌라가 아마 많을 것이기 때문에 가장 최근 순서로 매매 확정된 집값을 살펴보면 대충 어느 정도 금액이 실제 집값 일지 답이 나옵니다.
- 계약 당일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는 깡통전세 대처할 수 있는 가장 기본이므로 반드시 계약 후 바로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하는 것도 아파트 빌라 깡통전세 대처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세 보증보험 가입으로 깡통전세 대처가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깡통전세가 사라질 수 없는 것은 대부분 정상적인 범주 내에서의 거래이기 때문에 세입자 본인이 충분한 확인을 한 뒤에 전세 계약을 해야 하는데 앞서 말했듯이 사회초년생 또는 경험 부족 부동산 지식이 없어서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고 깡통전세 빌라 아파트를 계약하는 경우가 매년 생기므로 위의 내용대로 깡통전세 구분법을 살펴보고 혹시 모를 깡통전세 대처하는 방법을 평소 알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