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노후준비 필요자금 어느정도

by 후냐씨 2017. 7. 27.


노후준비 필요자금 어느 정도 필요한지 알아보는 사람들이 늘어났는데 현재 일하고 있더라도 40대~50대 직장인들은 미리 노후준비 계획을 세워보고 노후 대비 연금 또는 은퇴 설계 준비를 하며  노후준비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갈수록 직장 정년도 짧아지고 한 곳에서 오래 근무하기도 힘든 환경이 되다 보니 회사 직장을 다니는 30대부터 50대 사이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빠르게 은퇴 이후를 대비하고 있는 분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변에도 아직 한창 일할수 있는 나이에 회사 정년과 은퇴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고 소득활동을 하지 못해 궁핍하게 지내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노후준비 안된 부모님들의 문제점

 

예전에는 직장 은퇴 전까지 자녀들의 교육비와 내 집 마련까지 책임지고 나중엔 모든 경제력을 물려주어 자녀들에게 의지해서 보내는 것이 일반적인 노후대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같은 결혼하는 사람들도 많이 줄어들고 아이를 낳지 않는 세대에서는 핵가족화를 넘어 개인주의가 일반화가 되었기 때문에 예전처럼 자녀들에게 헌신을 해도 노후준비 안된 부모님들의 경우 경제적인 여유가 없고 힘든 노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 이는 아주 먼 미래가 아니라 현재 40대 이상 라면 불과 10~20년 내에 겪게 될 일이므로 가능하면 안정적인 직장과 소득이 있을 때 은퇴 설계와 계획을 세우고 연금이던 재테크 어느 것이라도 노후 대비 자금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경제적 노후준비 계획 세워보기

 

  • 노년층의 경우 한 달 생활비가 적어도 평균 200만 원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기본적인 국민연금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노후준비 방법이 필요하고 한 살이라도 젊을 때부터 시작해야 조금이라도 더 안정적인 노후 대비 자금을 모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 노후 준비 계획 세우기

 

  • 조금 늦은 50대 노후 준비라 할지라도 아직 일할수 있는 나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일해서 소득활동을 계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엔 주택연금과 같은 노후대책 방법도 있으므로 여러 가지를 활용하면 노년에도 경제적으로 부족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아직도 충분히 소득활동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은퇴 이후라도 가능한 직업을 찾아보고 계속 일하는 것이 좋고 젊은 세대일 때부터 노후대책을 세우고 안정적인 노후준비 방법을 세워서 노후 대비 자금을 모으는 노력과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